본문 바로가기

경제 기초 배우기

(4)
[경제 개념] 금리이야기2 : 콜 금리와 기준 금리 0. 들어가며 지난 시간에 금리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금리는 돈의 가격이다. 금리는 경기다. 라는 정의를 했었죠. 해당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따라가면 볼 수 있습니다. [경제 개념] 금리 이야기 1 : 금리가 뭐죠? 0. 들어가며 경제 뉴스를 보거나 경제 신문을 읽다보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단어는 바로 '금리' 입니다. 경제 관련 이야기를 보면 꼭 나오는 금리. 그런데 금리는 뭔가 멀게 느껴지고 항상 어 unfamiliarity-diary.tistory.com 이전 게시글의 마지막에 "경기가 좋으면 금리가 좋아지고, 경기가 나쁘면 금리가 나빠진다." 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그런데 금리가 어떻게 경기를 반영하게 되는걸까요? 오늘은 경기에 따라 금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
[경제 개념] 금리 이야기 1 : 금리가 뭐죠? 0. 들어가며 경제 뉴스를 보거나 경제 신문을 읽다보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단어는 바로 '금리' 입니다. 경제 관련 이야기를 보면 꼭 나오는 금리. 그런데 금리는 뭔가 멀게 느껴지고 항상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가장 중요하면서도 어렵게 느껴지는 금리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합시다. 금리이야기는 어렵게 느껴지는 만큼 긴 호흡으로 이야기를 풀어내볼 생각입니다. 1. 금리란? 금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평소에 가지고 있는 생각을 깨뜨리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가 보통 금리라는 단어를 보면 떠오르는 생각은 "은행 이자율" 입니다. 이건 당연한 결과이죠. 은행 이자 외에는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와닿는 이율의 개념이 없으니깐요. 그렇지만 이제 이런 생각은 잠시 접어두고 우리의 ..
[경제 개념] 테이퍼링(Tapering)과 유동성 0. 들어가며. 최근 경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 투자자들이라면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테이퍼링(tapering)" 인데요. 테이퍼링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썩 긍정적인 이미지가 떠오르진 않습니다. 테이퍼링이 뭐길래? 그리고 테이퍼링을 하면 어떻게 되길래..? 미국연준의 말에 귀 기울이고 집중하는걸까요? 오늘은 테이퍼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1. 테이퍼링(Tapering) 이란? 테이퍼링의 사전적 정의를 먼저 살펴봅시다. 테이퍼링 :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것. 출구전략의 일종이다.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정의한 테이퍼링의 개념입니다. 개념을 하나하나 뜯어봅시다. 우선 "연방준비제도(Fed)" 가 등장합니다. 여기서는 간단히 Fed 의 기능..
[경제 개념] 통화지표 (M0, M1, M2)와 유동성지표(Lf, L) 0. 서론.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어떠한 가치를 지닌 것을 지불하여 내가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 것" 은 화폐입니다. 즉, 국가가 발행한 '통화'를 이용해서 생필품을 구매하고 자산을 매입하는 등의 활동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뉴스기사를 보다 보면 본원통화, 광의통화, 협의통화 등.. 통화를 여러가지로 구분해서 사용합니다. 왜 이렇게 통화를 구분해서 사용할까요? 오늘은 통화 지표와 유동성 지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합니다. 1. 통화지표 통화지표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본원통화(MB), 협의통화(M1), 광의통화(M2) 등등.. 여러가지로 나뉘죠. 그냥 통화면 통화지 왜 이렇게 어렵게 나눠둔걸까요? 우선 '통화지표' 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통화지표..